top of page

씹기 동작을 만들어 내는 교근은 헐크 근육 (저작근)

안녕하세요!

음식을 씹을 때, 말을 할 때, 심지어 웃을 때까지 우리 턱은 늘 바쁘게 움직입니다.

이 모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들이 바로 저작근입니다.

턱 건강을 지키려면 저작근을 아는 게 필수랍니다.


저작근이란?

저작근은 쉽게 말해 씹는 근육입니다.

머리뼈와 아래턱뼈를 연결해서 턱을 열고 닫고, 앞뒤·좌우로 움직이게 도와줍니다.

음식을 잘게 씹어 삼킬 수 있게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죠.


대표적인 저작근 4가지 (교근, 측두근, 내·외측 익상근)

턱을 움직이는 데 핵심이 되는 4가지 근육이 있어요.

교근(Masseter) : 씹는 힘의 대표! 턱을 닫을 때 가장 크게 쓰이는 근육입니다.

교근은 인체의 근육 크기가 동일하다면 가장 큰 힘으로 수축하는 근육계의 챔피언입니다.

반대로 턱관절에 과긴장을 만들어 내는 악동이기도 합니다.


교근 (masseter muscle)은 깊은 (deep)층과 얕은 (superficial)층으로 구성
교근 (masseter muscle)은 깊은 (deep)층과 얕은 (superficial)층으로 구성


턱에 통증이나 소리가 난다면 필수적으로 교근을 풀어 주어야 합니다.

교근 마사지에 중요한 것은 교근의 층이 두 개라는 점입니다.


마사지 지점은 세 군데입니다!!

깊은 (deep) 교근은 관자뼈 근처에서 풀어주어야 합니다.

얕은 (superficial) 교근은 턱의 아래각 부위에서 위쪽 방향으로 풀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두 개층이 만나는 가운데 영역도 같이 풀어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측두근(Temporalis) : 머리 옆에 넓게 퍼져 있는 근육으로, 턱을 닫고 뒤로 당길 때 활약합니다.

머리 옆을 감싸고 있는 측두근은 머리에 있지만 사실 '씹는 근육'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 근육이 딱딱하게 굳어버립니다.

그러면 머리가 지끈지끈하는 편두통을 느끼게 됩니다.

턱이 불편한데 편두통이 있다면 바로 측두근을 풀어 주어야 합니다.


측두근 (temporalis muscle)은 관자부위에서 뒤통수 영역까지 넓고 얇은 판형태의 근육
측두근 (temporalis muscle)은 관자부위에서 뒤통수 영역까지 넓고 얇은 판형태의 근육

측두근에 대한 마사지는 지끈지끈한 편두통이 생기는 관자놀이 근처만 풀어서는

안된다는 점입니다!!

사진과 같이 측두근은 거의 뒤통수 부근까지 넓고 얇게 펼쳐진 근육입니다.

따라서 마사지를 할 때는 강하지 않게 부드러우면서 넓은 영역을 골고루 풀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내측 익상근(Medial Pterygoid) : 교근과 짝을 이루어 턱을 닫고, 씹을 때 좌우로 움직이게 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씹을 때를 생각해 보면 입을 꼭꼭 씹는다고 생각하지만

질긴 음식을 씹을 때는 좌우로 비틀면서 음식물을 갈기도 합니다.

이때 내측 익상근의 수축으로 좌우 움직임을 만들어 냅니다.


내측 익상근 (medial pterygoid muscle)
내측 익상근 (medial pterygoid muscle)

내측 익상근은 마사지는 입안에서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전문가는 시행하기 어렵습니다.

대신 스트레칭은 셀프로 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 방법은 오른쪽 근육의 경우 오른손은 관자놀이에 고정하고

왼손은 턱 앞옆에 주먹으로 오른쪽 위 방향으로 밀어줍니다.

이때 정상적으로 다무는 위치 보다 더 멀리 밀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왼쪽은 반대로 해야 합니다.



외측 익상근(Lateral Pterygoid) : 턱을 앞으로 밀고, 입을 벌릴 때 중요한 역할을 해요.

저작근 중 유일하게 입을 벌릴 때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특히 익상근은 턱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이는 '쿠션'인 디스크를 앞으로 잡아당기는

중요한 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외측 익상근 (lateral pterygoid muscle)
외측 익상근 (lateral pterygoid muscle)

입이 잘 벌어지지 않거나 소리가 나는 이유는 외측 익상근의 과긴장이나 약화로

디스크를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상태를 확인해서 스트레칭이나 협응 운동을 통해 외측 익상근을

정상 상태로 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외측 익상근도 마사지는 입안에서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전문가는 어렵습니다.

셀프 스트레칭 방법은 오른쪽 근육의 경우

오른손은 관자놀이에 고정해 주고 왼손은 턱 아래각에 주먹을 이용해서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밀어줍니다.

이때 멍하니 있을 때 입이 벌어지는 정도로 입이 살짝 벌어지는 상태로 밀어주어야 합니다.

왼쪽은 반대로 시행합니다.



이 4개의 근육이 마치 오케스트라처럼 조화를 이루어

우리가 자연스럽게 먹고 말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가 매일 하는 "먹고, 말하고, 웃는" 행동 뒤에는

늘 이 근육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답니다.


턱에 불편함이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저작근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습관을 시작해 보세요!

댓글


대표이사: 홍지헌

사업자 등록번호: 570-86-02836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4-충남아산-0916

​전화번호: 041-530-2732

  • Youtube
  • Instagram

본사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선문로221번길 70, 409호 (산학협력관)

​벤처기업: 제20241119030102호

 

 

© 2025 by Healtasis Inc.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