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턱관절 움직임과 조절의 원리 (운동학)

턱관절 생체역학(Biomechanic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턱관절은 작은 관절입니다.

그러나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움직이고, 가장 힘이 강한 헐크 근육인 교근도 턱에 있습니다.

이 작은 관절을 원활히 움직이려면 단순히 "힘"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움직임을 만드는 원리와 조절하는 힘이 잘 맞아야 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턱관절 생체역학(Biomechanics)은 운동학(Kinematics)과

운동역학(Kinetics)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구분

운동학 (Kinematics)

운동역학 (Kinetics)

설명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직선 도로를 달립니다. 자동차의 위치와 속도가 얼마인지 운동 자체의 기하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학문입니다.

자동차가 운동을 한 이유는 결국 엔진에서 발생한 힘이 차량의 무게보다 강하게 밀었기 때문입니다. 운동역학은 왜 물체가 그렇게 움직이는지를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요소

위치, 속도, 가속도, 시간

힘, 질량, 운동량, 에너지

턱관절의 움직임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입 벌림과 닫힘 (Depression & Elevation)


입이 열릴 때는 단순히 아래턱이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먼저 관절돌기(condyle)가 회전하다가, 뒤이어 앞으로 미끄러지듯 이동(translation)합니다.

정상적으로는 약 45~50mm 정도 열리고, 일상생활에는 그중 절반 정도면 충분합니다.

35mm 미만으로 입을 벌리게 되면 턱관절 장애로 진단받게 됩니다.



입을 벌릴 때 디스크가 전방 전위 되는 사진
Choi, K. Y., Yang, J. D., Chung, H. Y., & Cho, B. C. (2012). Current concepts in the mandibular condyle fracture management part I: overview of condylar fracture. Archives of plastic surgery, 39(04), 291-300.

그럼 운동역학의 개념으로 "누가, 어떻게 만들어 내는가?"를 살펴보겠습니다.

입 벌림(Depression)은 목뿔위근이 아래턱뼈를 아래로 당기며 이때 중력도 힘을 보탭니다.

이 힘들은 관절돌기를 회전시키며 입을 벌리는 원인이 됩니다.

그리고 가쪽날개근이 후기에 관절돌기를 앞으로 당겨 더 크게 벌릴 수 있게 합니다.

가쪽날개근은 아래턱뿐만 아니라 '쿠션'인 디스크에도 붙어 있어 같이 잡아당기게 됩니다.

정상적으로 잘 끌려 나오는 디스크는 언덕을 넘어갈 때 충격이나 소리 없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해 줍니다.


  1. 입 닫힘(Elevation)은 교근, 안쪽날개근, 관자근이 각각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씹을 때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교근이 주로 담당합니다.

씹을 때 좌우로 이동하며 음식물을 갈기 위해서는 안쪽날개근이 닫으며 좌우 이동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벌릴 때 앞으로 빠졌던 아래턱을 다시 원래 위치로 뒤로 당겨주며

입을 닫아주는 역할은 관자근이 담당합니다.


  1. 앞뒤 이동 (Protraction & Retraction)

아래턱이 앞으로 나오거나 뒤로 들어가는 움직임입니다.

정상 범위는 3~6mm 정도이며, 아랫니가 윗니를 넘어야 정상 앞쪽 이동 범위로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이동하는 힘은 앞서 입을 벌릴 때 역할을 했던 가쪽날개근이 담당합니다.

그리고 관자근의 뒤쪽 섬유들은 뒤로 이동을 만들어 냅니다.



중요 포인트!!

소리의 발생시기에 따라 문제가 되는 근육을 감별할 수 있습니다.

입을 벌리는 초기에 소리가 난다는 것은 다무는 자세에서 디스크가  전방으로 빠져있다는 뜻입니다.

그 원인은 관자근이 느슨해졌거나 가쪽날개근이 타이트해서입니다.


입을 벌릴 때 후기에 소리가 난다는 것은 디스크가 뒤늦게 앞으로 이동하며 '쿠션'역할이 잘되고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그 원인은 가쪽날개근이 느슨해져 있거나 관자근의 긴장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원인에 따라 운동법도 달라져야 하겠지요!!



  1. 좌우 이동 (Lateral Excursion)

 턱이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약 10~15mm 정도가 정상 범위입니다.

음식 씹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동작입니다.

이 동작의 힘을 제공하는 것은 가쪽·안쪽 날개근이 담당합니다.

그런데 이때 씹는 쪽과 반대쪽 근육이 수축해야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근육이 수축하면 턱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안쪽날개근은 아래턱을 좌우 이동시키며 다무는 동작이 동반되지만,

가쪽날개근은 아래턱을 좌우 이동시키며 벌리는 동작이 동반되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좌우 이동을 잘 이용하면 소리나 통증의 원인이 되는 근육과 구조물에 대해 적절한 자극을 줄 수 있어

재활 운동 프로그램 설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1. 마지막으로, 이런 턱관절의 운동은 신경학적 조절에 영향을 받습니다.

관절과 근육의 감각 정보는 뇌로 전달되어 미세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목과 턱의 신경은 서로 연결되어 목 자세가 턱관절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호흡 훈련이나 목 자세 교정도 턱관절 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잘 관찰하고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을 시켜야 합니다.


앞으로는 단순히 “턱이 아프다”는 증상만 보는 것이 아니라, 움직임의 원리와 조절법을 이해하는 것이 턱관절 건강의 핵심입니다.

댓글


대표이사: 홍지헌

사업자 등록번호: 570-86-02836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4-충남아산-0916

​전화번호: 041-530-2732

  • Youtube
  • Instagram

본사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선문로221번길 70, 409호 (산학협력관)

​벤처기업: 제20241119030102호

 

 

© 2025 by Healtasis Inc.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